

작성자 | 관리자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글제목 | 60세 이후 식사 시 주의할 점 | |||||
60세 이후 식사 시 주의할 점
① 소화가 잘되는 부드럽고 물렁한 식품을 많이 먹습니다. 대추, 용안, 호두알, 은행, 마, 왕밤, 연밥, 소나무 가루를 죽으로 끓여서 수시로 먹으면 좋습니다. ② 매일 우유 1~2병, 계란 1~2개를 섭취합니다. 매주 식탁 위에는 돼지고기, 쇠고기, 생선, 새우, 닭고기를 올리고 채소는 제철 식품을 주로 하되, 겨울에는 채소를 적게 먹거나 찬 성질의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노인들은 비장과 위가 약하기 때문에 익히지 않은 찬 음식을 먹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. ③ 겨울에는 홍차나 대추차를 마십니다. 겨울에는 차가운 성질의 여주차, 금은화(인동꽃)차, 결명자차 등은 되도록 적게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. 대신 따뜻한 성질의 홍차나 대추차를 마시도록 합니다. ④ 블랙푸드는 가려서 먹어야 합니다. 신문, 잡지,TV에서 목이버섯, 다시마, 김 등 블랙푸드의 장점을 자주 소개해 많은 노인과 아이들이 사계절 내내 이런 음식들을 먹고 있습니다. 그 중에서 목이버섯은 약간 찬 성질의 음식인데 장기적으로 섭취하더라도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. 하지만 비장과 위가 약하고 변비가 있거나 허리, 다리가 시큰거리고 아픈 노인들은 겨울에는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 그리고 다시마와 김은 찬 성질이 강한 음식이라 여름에 먹는 것이 적절합니다. 우리 몸에 병이 생기는 이유는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을 먹어서입니다. 특히 노인들의 경우는 찬 성질의 식품이나 제철이 아닌 채소와 과일을 섭취해서 병이 생기는 경우가 허다합니다. 평소 정정하던 노인이 갑자기 병이 났다면 그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봐야 합니다. 만약 생활상에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면 그 원인은 음식에 있을 것입니다. 최근 들어 먹기 시작한 음식, 화학식품 등이 있다면 그 즉시 먹는 것을 멈추고 병세에 차도가 있는지 살펴 봐야 합니다. 찬 성질의 음식과 몸을 차게하는 것은 만병의 근원이기도 합니다. 내용출처)한국대체의학센터 http://www.am-119.kr/ |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날짜 | 조회 |
---|---|---|---|---|
18122 | 관리자 | 11-03-02 | 1877 | |
18121 | 관리자 | 10-05-06 | 2259 | |
18120 | 관리자 | 10-04-22 | 1872 | |
18119 | 관리자 | 10-04-14 | 19739 | |
18118 | JackWix | 20-03-24 | 708 | |
18117 | JimWix | 20-03-21 | 772 | |
18116 | KimWix | 20-03-18 | 876 | |
18115 | KimWix | 20-03-17 | 661 | |
18114 | JoeWix | 20-03-17 | 786 | |
18113 | JimWix | 20-03-17 | 847 | |
18112 | KimWix | 20-03-17 | 665 | |
18111 | JoeWix | 20-03-14 | 677 | |
18110 | JimWix | 20-03-13 | 737 | |
18109 | AshWix | 20-03-11 | 657 | |
18108 | TedWix | 20-03-11 | 663 | |
18107 | CarlWix | 20-03-11 | 662 | |
18106 | IvyWix | 20-03-11 | 668 | |
18105 | KimWix | 20-03-11 | 653 | |
18104 | PaulWix | 20-03-11 | 729 | |
18103 | JimWix | 20-03-10 | 67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