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작성자 | 관리자 |
---|---|
글제목 | 항암제 리툭시맵! 치명적 뇌 바이러스에 감염 |
항암제 리툭시맵! 치명적 뇌 바이러스에 감염 57살 난 뉴욕의 어떤 변호사는 몇 년 동안 뉴욕 타임즈의 토요일판에 실려 있는 어려운 “단어 맞추기 ” (십자말풀이)를 풀어보는 습관이 잇었다. 그런데 어느 토요일 날 아침 갑자기 빈칸에 채워넣을 단어를 생각해낼 수 없게 되었다. 시카고에서는 83세 난 할머니가 똑같은 말만 앵무새같이 되니기 시작했다. 의사가 어덯게 지내는지 물어보자, 잘지내고 있다는 말만 계속 되뇌었다. 항암제 리툭시맵 복용중인 환자들, 치명적 뇌 바이러스에 감염되다. 뉴욕의 변호사나 시카고의 할머니의 증상은 치매초기로 오해할 수 있는데, MRI로 뇌검사를 해보고 조직검사까지 해본 결과 뇌가 잠식당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. 다시 뇌조직 검사와 척수 천자를 통해 “진행성 다초점성 백질뇌병증(PML)"으로 판정이 났다. 이 질환은 바이러스가 뇌에 감염되어 생기는데 흔히 치명적이다. 그런데 왜 이런 질병이 생겼을까?? 이 두사람은 모두 림프종(임파선암)을 앓고 잇어서 인기 있는 항암제인 리툭시맵(리툭산)을 복용하고 있었다. 또 두사람 모두 노드웨스턴대학 파인버그 의대에서 실시중인 RADAR프로젝트란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환자들이다. 이 연구 프로젝트는 리툭시맵과“진행성 다초점성 백질뇌병증”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프로젝트이다. 리툭시맵은 림프종을 치료하는 항암제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광범하게 사용되는 약품이다. 또 류며티스성 관절염 치료제로도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고, 비록 승인은 받지 않았지만 다발성 경화증이나 루푸스나 자가면역성 빈혈을 치료하는데도 의사들이 처방하고 있다. 리툭시맵 복용 후 치명적 뇌 질환 걸려, 생존기간 2달 RADAR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는 의사인 베네트에 의하면 1997년부터 2008년 까지 빈혈, 류머티스성 관절염, 림프종 환자들 중에 리툭시맵을 복용한 후 치명적인 뇌 질환에 걸린 사람이 57명이라고 한다. “진행성 다초점성 백질뇌병증”에 걸린 경우 진단을 받은 후 평균수명은 2달이다. 베네트에 의하면 뇌 감염이 되어도 처음에는 알아내기 어려워서 그냥 지나쳐 버리거나 검사를 해보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. 또 치매초기나 우울증 정도로 생각해버릴수도 있다고 한다. 게다가 뇌 감염으로 사망해도 그냥 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고 한다. 일단 RADAR프로젝트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항암제인 리툭시맵이 바이러스의 뇌 감염과 관계가 있는 것은 밝혀졌다. 그러나 아직도 어떻게 리툭시맵이 뇌 바이러스와 관련이 되는지 또 어떤 환자가 위험한지는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.
|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날짜 | 조회 |
---|---|---|---|---|
74 | 관리자 | 09-10-26 | 768 | |
73 | 관리자 | 09-10-13 | 542 | |
72 | 관리자 | 09-09-24 | 872 | |
71 | 관리자 | 09-09-08 | 499 | |
70 | 관리자 | 09-09-04 | 578 | |
69 | 관리자 | 09-09-02 | 618 | |
68 | 관리자 | 09-07-02 | 571 | |
67 | 관리자 | 09-07-01 | 1125 | |
66 | 관리자 | 09-06-02 | 711 | |
65 | 관리자 | 09-02-12 | 598 | |
64 | 관리자 | 09-02-10 | 2218 | |
63 | 관리자 | 09-02-02 | 660 | |
62 | 관리자 | 09-01-05 | 745 | |
61 | 관리자 | 08-10-22 | 495 | |
60 | 관리자 | 08-10-17 | 609 | |
59 | 관리자 | 08-10-13 | 483 | |
58 | 관리자 | 08-10-10 | 742 | |
57 | 관리자 | 08-10-09 | 626 | |
56 | 관리자 | 08-09-30 | 873 | |
55 | 관리자 | 08-09-26 | 499 |